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 총정리 -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빌라 다세대

반응형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 썸네일 이미지입니다.

 

부동산 계약에서 가장 애매하고 궁금한 것? 바로 '복비'죠. 서울시 기준으로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부동산 거래를 앞두고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중개보수 얼마 내야 하지?'라는 고민을 해보셨을 거예요. 특히 서울에서는 거래 유형, 금액, 부동산 종류에 따라 요율이 다 달라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저도 처음엔 뭐가 뭔지 도통 감이 안 잡혀서 중개사무소 앞에서 머뭇거리던 기억이 나요. 그래서 이번엔 서울시 기준으로 아주 명확하게, 표까지 포함해서 정리해드릴게요. 복비로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딱! 정리해보겠습니다. 참고로, 계산이 어려우시다면 아래의 부동산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단 몇초만에 복비를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주택 매매 거래 요율표

서울시에서 주택 매매 또는 교환을 할 때 적용되는 중개보수는 아래 표와 같이 거래금액에 따라 상한요율과 한도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특히 2억 원 이상 구간부터는 '한도액 없음' 구간이니, 계약 전 꼭 중개사와 협의하세요. 아래의 서울시 부동산 요율표를 다운로드 받으시고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부동산 요율표 받기

서울시 부동산 요율표.pdf
1.17MB

 

거래금액 구간 상한요율 한도액
5천만 원 미만 0.6% (1천분의 6) 25만 원
5천만 원 이상 ~ 2억 원 미만 0.5% (1천분의 5) 80만 원
2억 원 이상 ~ 9억 원 미만 0.4% (1천분의 4) 없음
9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0.5% (1천분의 5) 없음
12억 원 이상 ~ 15억 원 미만 0.6% (1천분의 6) 없음
15억 원 이상 0.7% (1천분의 7) 없음

✅ 참고: '한도액 없음' 구간은 거래금액이 커질수록 중개보수도 비례 증가하므로, 반드시 협의가 필요합니다.

주택 임대차 거래 요율표

전월세나 임대차 계약 시 적용되는 중개보수 요율입니다. 매매보다 다소 낮은 요율이 적용되며, 계산은 '보증금 + (월세×100)'으로 합니다. 단, 합산 금액이 5천만 원 미만이면 '보증금 + (월세×70)'으로 계산합니다.

거래금액 구간 상한요율 한도액
5천만 원 미만 0.5% (1천분의 5) 20만 원
5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 0.4% (1천분의 4) 30만 원
1억 원 이상 ~ 6억 원 미만 0.3% (1천분의 3) 없음
6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0.4% (1천분의 4) 없음
12억 원 이상 ~ 15억 원 미만 0.5% (1천분의 5) 없음
15억 원 이상 0.6% (1천분의 6) 없음

📌 계산 기준: 보증금 + (월세 × 100)
단, 합산 금액이 5천만 원 미만일 경우는 보증금 + (월세 × 70)으로 계산합니다.

오피스텔 중개보수 기준

오피스텔 거래 시 적용되는 요율은 해당 공간이 주거용으로 분류되는지, 상업용으로 분류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85㎡ 이하의 오피스텔 중 입식 부엌, 수세식 화장실, 목욕시설이 모두 갖춰져 있다면 주택에 준해 요율이 적용되며, 그렇지 않으면 상업용 요율이 적용됩니다.

구분 거래내용 상한요율
주거용 설비 완비 (85㎡ 이하) 매매·교환 0.5% (1천분의 5)
주거용 설비 완비 (85㎡ 이하) 임대차 등 0.4% (1천분의 4)
그 외 (상업용 포함) 매매·임대차 등 0.9% (1천분의 9)

⚠️ 중요 포인트: 오피스텔이 주거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업용 요율(0.9%)이 적용됩니다. 두 배 차이 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상가 · 토지 등 비주택 요율

주택, 오피스텔 외에 상가, 토지, 창고, 공장 등은 모두 동일한 요율이 적용됩니다. 거래 금액에 따라 비용 차이가 큰 만큼 협의에 따라 요율 조정도 가능합니다.

구분 거래내용 상한요율
토지, 상가, 공장, 창고 등 매매 · 교환 · 임대차 등 0.9% (1천분의 9)

💡 이 항목은 고가 거래일수록 복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 협의로 요율 조정을 고려하세요.

중개보수 계산 시 주의사항

📝 체크리스트
  • 중개보수는 정해진 상한요율 내에서 협의 가능합니다.
  • 표기된 요율 외에 부가세 10%가 별도로 부과됩니다.
  • 분양권 거래 시 기준금액은 불입금 + 프리미엄 + 융자금을 합산합니다.
  • 주택 면적이 건축물의 50% 이상일 경우 주택 요율 적용, 50% 미만은 상업용 요율 적용됩니다.
  • 공인중개사는 요율표를 사무실 내 게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실전 거래 전 체크 포인트

서울시 부동산 중개보수는 유형과 거래 금액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단순히 '얼마쯤 나오겠지'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정확한 계산을 통해 예산을 잡는 것이 현명합니다.
  • 중개계약서에 요율과 금액을 명시해 불필요한 분쟁 방지
  • '한도액 없음' 구간 거래 시, 반드시 협상 필요
  • 계산기 사용 전, 거래유형과 면적 기준 꼼꼼히 확인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꽤나 단순한 중개보수 체계, 이제는 서울시 기준으로 제대로 이해하셨죠? 부동산 거래는 수백에서 수억 원이 오가는 중요한 일이니, 중개수수료도 가볍게 넘길 수 없는 항목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복비에 대한 궁금증이 말끔히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혹시 더 궁금한 게 있다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 실전 거래 전, 이 포스팅 한 번 더 확인해보면 진짜 도움 됩니다!

 

 

부동산 매매 절차 총정리|처음 거래하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집을 사는 게 이렇게 복잡할 줄 몰랐다고요? 걱정 마세요. 이 글 하나면 처음 매매하는 분도 절차가 술술 풀립니다.안녕하세요! 처음 집을 사거나 팔아보려는 분들에게 부동산 거래는 복잡하고

king-info.com

 

반응형